UPDATED. 2024-04-26 16:55 (금)
전임회장 꼼수로 막후 정치 꾀해? 허수아비 되는 서울시 주민자치회장단협의회
상태바
전임회장 꼼수로 막후 정치 꾀해? 허수아비 되는 서울시 주민자치회장단협의회
  • 문효근 기자
  • 승인 2024.02.14 15:5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현직 아닌 전직회장이 명예회원에 사무총장까지 역임
- 명예회원 만료 후 정관 개정 통해 ‘자문위원직 신설’로 막후 실력 행사 꾀해
- 견제해야 할 각 구 협의회장들은 수수방관으로 일관

전임회장의 비정상적인 행보로 인해 서울시 주민자치회장단협의회(이하 서울시 협의회)가 자칫하면 허수아비로 전락할 위기에 처해 있다.

서울시 협의회는 이미 2022년 임기가 만료된 오세범 전임회장이 명예회원 자격으로 사무총장을 자처하며 협의회장 버금가는 대외활동을 이어온 것에 의구심이 제기된 상황이다. 그런데 여기에 그치지 않고 정관 개정을 통해 명예회원 조항을 자문위원으로 바꿔 또 다시 특정 전임회장으로 하여금 무리한 활동을 이어가게 하려는 징후가 포착된 것이다.

더 큰 문제는 이러한 독단을 견제해야 할 협의회 소속의 각 자치구 협회의장들이 수수방관하는 상황이다.

 

 

전임회장이 명예회원 이어 자문위원까지? 꼼수 의심

서울시 주민자치회장단협의회 오세범 공동회장은 2022년 말 회장 임기가 만료되었으나 명예회원으로 활동을 이어갔다.

정관 5(자격) 임기가 만료된 회원이 원하는 경우 임기만료일부터 1년간 명예회원으로 한다는 조항에 의거한 것이다.

당시 무급으로 성실히 사무총장 업무를 수행할 지원자가 있었음에도 이를 배제하고 오 회장 본인이 사무총장을 자처해 각종 서류작업을 맡아하며 협의회의 중추적인 역할을 맡았다.

또한, 공동대표 체제로 운영되는 서울시 협의회지만 오 회장이 회장에 버금가는 대외활동을 이어온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단순히 주민자치를 위한 봉사자 역할에 충실하려는 의도라고 보기엔 석연치 않은 부분이다.

사진=서울시 주민자치회장단협의회 정관
사진=서울시 주민자치회장단협의회 정관

 

명예회장 임기만료 후 정관 개정까지 해 자문위원으로? 막후 정치 의심

오세범 회장의 명예회원 임기는 2023년에 이미 만료되었다. 그런데 자문위원이라는 새로운 직책을 신설하는 정관 개정을 통해 서울시 협의회 활동을 이어가려는 징후가 포착되었다.

5(자격) 본 회의 필요시 자문위원을 약간 명 둘 수 있다라는 신설 조항인 것이다.

통상 회장 임기가 만료된 경우 원로회의 등에 속해 현직 회장단을 지원하고 협조하는 경우는 있으나 명예회원에 이어 자문위원이라는 명패까지 달고 협의회 업무에 깊숙이 개입하는 경우는 찾아보기 힘들다.

막후 정치를 통해 서울시 협의회에서의 실질적인 권한을 계속 유지하려는 것은 아닌지 합리적 의심이 드는 이유다.

 

정기회의에 단 2명 참석, 협의회장들 수수방관으로 일관

더 큰 문제는 이를 집중적으로 견제해야 할 서울시 협의회 소속의 각 구 협의회장들이 수수방관하고 있다는 점이다. 자문위원 조항이 들어 간 의도가 불순한 정관 개정 논의를 위해 5일 열린 서울시 주민자치회장단협의회 정기회의에는 17개 구 회장단 중 현직 회장은 단 2명만 참석, 극도의 저조한 참석률을 보인 것이 이를 증명한다.

5명이 참석한 이 날 회의에는 전임 구 협의회장이 3명 참석했고, 이들 중 일부가 회의 진행을 좌지우지했다는 전언이다. 서울시 협의회가 현직 회장들이 아닌 전임회장들의 주도 아래 운영되는 점은 전임회장들의 심각한 전횡으로 비쳐질 수 있는 부분이다.

한편, 이날 회의에서는 정관 개정에 대해 자세한 공지나 명시가 없었다는 볼멘 목소리도 터져 나왔다. 무엇보다 회원 3분의 2 이상이 참석해야 하는 정관 개정에 관한 조항에 의거, 턱 없이 부족한 정족수로 관련 건은 다음 달 회의로 넘어가게 되었다.

 

허수아비 될 위기 처한 서울시 협의회, 특단의 대책 필요해

이러한 작태는 서울시 협의회의 유명무실한 모습을 보여주는 대목이 아닐 수 없다. 특정 개인이 석연치 않은 정관 개정을 통해 자칫 조직을 좌지우지할 수도 있는 심각한 위기의 서울시 협의회지만 정작 구성원인 각 구 협의회장들의 책임 있는 대응과 견제는 찾아볼 수 없는 현실이다.

자칫하면 서울시 협의회가 허수아비로 전락할 수 있는 위기의 상황이다. 특단의 대책이 필요해 보인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
  • ‘공공성(公共性)’ 어떻게 봐야 할 것인가[연구세미나95]
  • 문산면 주민자치회, 주민 지혜와 협의로 마을 발전 이끈다
  • 제주 금악마을 향약 개정을 통해 보는 주민자치와 성평등의 가치
  • 격동기 지식인은 무엇을 말해야 하는가?[연구세미나94]
  • 사동 주민자치회, '행복한 끼'로 복지사각지대 해소 나서
  • 남해군 주민자치협의회, 여수 세계 섬 박람회 홍보 나선다